부동산 리츠 개념과 투자 유형 알아보기

부동산 투자를 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본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주식이나 ETF와 같은 금융상품들에 비해 떨어지는데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부동산을 주식처럼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든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그러한 방법 중 가장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부동산 리츠 개념과 투자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리츠

부동산 리츠 개념

부동산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란 부동산 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 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입니다.

일반인에게 부동산 간접투자기회를 제공하고, 충분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부동산 가격 안정을 가져오며, 건설시장도 활성화시킵니다. 나아가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구조

이러한 리츠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자가 부동산투자회사(리츠)에 투자를 합니다.
  2. 부동산투자회사(리츠)는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합니다.
  3.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에서 임대료, 개발이익 등의 수익이 발생하고, 이를 부동산투자회사에 배당합니다.
  4. 부동산투자회사(리츠)는 이를 다시 투자자들에게 배당합니다.

이 구조는 국내를 기준으로 더 세분화해서 위탁관리리츠, 기업구조조정리츠, 자기관리리츠로 구분됩니다.

세가지 모두 공통적으로 자산구성이 부동산 70%, 증권 및 현금 포함 80% 이상이어야 조건이 충족됩니다. 이렇게 설립된 리츠는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부동산 리츠 투자 유형

부동산 리츠는 크게 7가지의 투자유형을 가지는데요.

사무실을 임대하는 유형, 대형 쇼핑몰이나 백화점 등을 임대하는 유형,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을 운영하는 유형, 아파트와 같은 주거시설을 임대하는 유형, 창고나 유통센터와 같은 산업시설을 임대하는 유형, 복합적으로 다 임대/운영하는 유형, 병원이나 노인생활시설 같은 헬스케어 시설을 임대하는 유형이 있습니다.

여기서 발생하게 된 수익은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는 90%이상, 자기관리리츠는 50%이상을 의무배당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부동산 리츠의 개념과 투자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리츠는 주식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배당주로서의 가치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투자하는 자산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배당주 포트폴리오에 부동산 리츠를 한 두개 모으시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싶으시거나 매달 배당수익을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부동산 리츠를 공부하셔서 투자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Leave a Comment